목표 분석
게임 스트리밍 마케팅의 효과가 좋은 게임의 공통적인 특성 탐색

다음으로는 게임 스트리밍 마케팅의 효과가 좋은 게임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성을 탐색했다.
상관관계 그래프의 신뢰구간 내부에 있는 게임에서 두드러지는 특성을 가진 게임의 스트리밍 마케팅의 효과가 좋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신뢰구간 내부와 외부의 게임으로 분류를 진행했다.
참고로, 장르별 특성을 살리기 위해 신뢰구간은 각 장르별로 설정했다.
상관관계 그래프에서 색칠된 부분 내의 값들이 신뢰구간 내, 그 밖의 값들이 신뢰구간 외의 값이다.

신뢰구간 내외의 플레이어 시점 구성 비율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신뢰구간 내에서 1인칭 시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신뢰구간 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는 비율의 시점이 3인칭인 것과는 대비적이다.
횡스크롤 시점의 비율도 신뢰구간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는 1인칭 게임의 경우 시청자가 스트리머의 플레이에 이입하기 쉽다는 점이 작용했고, 횡스크롤의 경우 맵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고 중도 유입에 유리하다는 점이 작용했다고 유추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신뢰구간 내외의 멀티플레이 지원 여부에 대해 분석했다.
신뢰구간 내에서 멀티플레이가 지원되는 게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멀티플레이가 지원되는 게임의 경우 여러 명의 스트리머가 합동으로 플레이 및 방송할 수 있어 스트리밍을 통한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시청자 참여도 가능하여 실시간 구매 유도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최종 결론
지금까지 진행한 EDA를 분석 목표와 결합한다면 이러한 결론을 낼 수 있다.
Q. 이번에 발매하는 게임 마케팅에 스트리밍을 활용해도 될까?
A.
1) 장르가 핵 앤 슬래쉬, RPG, 전략류, 격투 게임이라면 적극적으로 추진하자
2) 장르가 비주얼 노벨, 레이싱, 아케이드, 뮤직이라면 삼가하자
3) 1인칭 혹은 횡스크롤 게임이라면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4) 멀티플레이를 지원하는 게임이라면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처음 진행해보는 EDA 프로젝트라 정리하며 돌이켜보니 미숙한 부분이 많았다.
하지만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서 진행한 프로젝트이니만큼, 지금까지 숙고한 부분을 기록으로 남겨두고 싶어 글을 적게 되었다.
추후에 기술적인 부분, 해석적인 부분을 더 보충하고 다른 방향으로의 분석도 진행하고 싶다.
'ASAC 6기 > EDA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DA 프로젝트] 게임 스트리밍과 게임 판매량의 연관성 분석 2: EDA(1) (0) | 2024.10.03 |
---|---|
[EDA 프로젝트] 게임 스트리밍과 게임 판매량의 연관성 분석 1: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0) | 2024.09.16 |
[EDA 프로젝트] 게임 스트리밍과 게임 판매량의 연관성 분석 0: 주제 선정 (0) | 2024.09.15 |
목표 분석
게임 스트리밍 마케팅의 효과가 좋은 게임의 공통적인 특성 탐색

다음으로는 게임 스트리밍 마케팅의 효과가 좋은 게임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성을 탐색했다.
상관관계 그래프의 신뢰구간 내부에 있는 게임에서 두드러지는 특성을 가진 게임의 스트리밍 마케팅의 효과가 좋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신뢰구간 내부와 외부의 게임으로 분류를 진행했다.
참고로, 장르별 특성을 살리기 위해 신뢰구간은 각 장르별로 설정했다.
상관관계 그래프에서 색칠된 부분 내의 값들이 신뢰구간 내, 그 밖의 값들이 신뢰구간 외의 값이다.

신뢰구간 내외의 플레이어 시점 구성 비율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신뢰구간 내에서 1인칭 시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신뢰구간 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는 비율의 시점이 3인칭인 것과는 대비적이다.
횡스크롤 시점의 비율도 신뢰구간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는 1인칭 게임의 경우 시청자가 스트리머의 플레이에 이입하기 쉽다는 점이 작용했고, 횡스크롤의 경우 맵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고 중도 유입에 유리하다는 점이 작용했다고 유추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신뢰구간 내외의 멀티플레이 지원 여부에 대해 분석했다.
신뢰구간 내에서 멀티플레이가 지원되는 게임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멀티플레이가 지원되는 게임의 경우 여러 명의 스트리머가 합동으로 플레이 및 방송할 수 있어 스트리밍을 통한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시청자 참여도 가능하여 실시간 구매 유도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최종 결론
지금까지 진행한 EDA를 분석 목표와 결합한다면 이러한 결론을 낼 수 있다.
Q. 이번에 발매하는 게임 마케팅에 스트리밍을 활용해도 될까?
A.
1) 장르가 핵 앤 슬래쉬, RPG, 전략류, 격투 게임이라면 적극적으로 추진하자
2) 장르가 비주얼 노벨, 레이싱, 아케이드, 뮤직이라면 삼가하자
3) 1인칭 혹은 횡스크롤 게임이라면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4) 멀티플레이를 지원하는 게임이라면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처음 진행해보는 EDA 프로젝트라 정리하며 돌이켜보니 미숙한 부분이 많았다.
하지만 시간과 노력을 투입해서 진행한 프로젝트이니만큼, 지금까지 숙고한 부분을 기록으로 남겨두고 싶어 글을 적게 되었다.
추후에 기술적인 부분, 해석적인 부분을 더 보충하고 다른 방향으로의 분석도 진행하고 싶다.
'ASAC 6기 > EDA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DA 프로젝트] 게임 스트리밍과 게임 판매량의 연관성 분석 2: EDA(1) (0) | 2024.10.03 |
---|---|
[EDA 프로젝트] 게임 스트리밍과 게임 판매량의 연관성 분석 1: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0) | 2024.09.16 |
[EDA 프로젝트] 게임 스트리밍과 게임 판매량의 연관성 분석 0: 주제 선정 (0) | 2024.09.15 |